저자소개
저자 강영우
1944년 경기도 양평에서 출생한 강영우 박사는 중학교 시절 사고로 실명하였고, 뒤이어 모친과 누나를 잃고 일찍이 맹인 소년 가장이 되었다. 그러나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신앙과 굳은 의지로 1972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 유학하여 1976년에는 한국 최초의 시각 장애인 박사(교육학 전공 철학박사)가 되었다.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는 고위 공직자 500명 중 한 명인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 차관보를 지냈으며, 이어서 둘째 아들 강진영 변호사가 2009년 1월에 취임한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 특별 보좌관으로 임명됨으로써 부자가 대를 이어 백악관에 입성하는 진기록을 만들었다. 국제로터리재단 장학생으로 공부한 빚을 갚기 위해 로터리 클럽 회원이 되어 활동하는 그는 1992년 재단 창립 75주년을 기념해 선정한 75명의 봉사의 촛불 중 한 명이 되었으며, 2008년에는 120만 회원 가운데 한 명에게 주는 지구촌 인권 박애상을 수상하고 참석한 수만 명을 대상으로 감동적인 연설을 하기도 했다. UN 세계장애위원회 부의장과 루스벨트 재단 고문으로서 6억 5천만 세계 장애인의 복지 향상을 위해 헌신하는 강영우 박사는 UN 창립 50주년, 루스벨트 타계 50주년 기념으로 제정된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의 첫 수상국으로 한국이 선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그의 노력은 2006년 케네디, 레이건, 클린턴 등의 미국 대통령, 코피 아난 UN 사무총장, 록펠러, 맥아더 장군 등과 함께 127인의 위인으로 선정되어 루스벨트 홍보 센터 강당의 기념 의자에 이름이 기록되는 것으로 공인받았다. 모국인 한국은 물론 세계를 누비며 활약하는 그는 '미국 명사 인명 사전'과 '세계 명사 인명 사전'에 각각 2000년, 2001년부터 수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현대의 영웅'으로 소개되었다. 그의 영문판 자서전인 '빛은 내 가슴에'(A Light in My Heart)가 미국 장로교 출판사인 존 녹스 프레스에 의해 1987년 출간되어 6개 국어로 번역되었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녹음 도서로 보급되었다. 저서로는 그 외에도'우리가 오르지 못할 산은 없다', '도전과 기회_3C 혁명', '꿈이 있으면 미래가 있다', '교육을 통한 성공의 비결', '어둠을 비추는 한쌍의 촛불'(아내 석은옥과 공저),'아버지와 아들의 꿈' 등 다수가 있다. 이 중'어둠을 비추는 한 쌍의 촛불'은 1995년 방송 대상을 받은 MBC 특집극'눈먼 새의 노래'와 영화'빛은 내 가슴에'로 제작되어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1st. 나의 장애는 축복이었다
장애 속에 꽃 핀 하나님의 명문 가문
장애는 저주인가, 축복인가?
진짜 문제는 믿음의 장애이다
장애는 기적을 낳는 황금알이다
2nd. 장애를 축복으로 만든 사람들
헬렌 켈러, 넘어질 수는 있어도 멈출 수는 없다
이와하시 다케오, 희망의 등불은 어둠 속에서 빛난다
루스벨트, 다리가 아닌 꿈으로 달려라
크리스토퍼 리브, 슈퍼맨, 휠체어를 타고 날다
등부방, 대륙에 인권의 씨를 뿌려라
밥 돌, 상이용사, 장애인 인권을 위해 싸우다
딕 손버그, 장애인들을 위한 평등의 이정표를 세우다
케네디? ,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화롭다
톰 하킨, 차별이 아닌 특별함으로 보라
3rd. 희망에 장애는 없다
우리는 누군가의 지팡이요 등대다
자녀는 부모의 꿈을 보며 자란다
장애는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씨앗이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졌다
하나님은 돕는 손길을 준비해 두셨다
하나님의 사랑은 이미 계획되어 있었다
우리는 모두 희망의 수혜자다
4th. “축복받은 삶, 감사합니다”
1. 아름다운 삶을 살도록 도움주신 모든 분, 감사합니다
2. 나의 지팡이가 되어 준 당신, 사랑합니다
3. 아버지의 삶을 살게 한 내 아들들, 축복합니다
에필로그
책 내용 소개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국내 최초 시각장애인 박사 강영우가 전하는 희망 메시지!!”장애는 불편함일 수는 있어도 불완전함은 아니다.당신을 지배하는 생각의 장애, 마음의 장애, 영의 장애를 뛰어 넘으라.나의 장애보다 크신 하나님을 바라볼 때 희망은 이뤄진다.강영우 박사는 시작보다 끝이 더 아름다운 사람이다. 시각장애인이라는 핸디캡을 안고도 우수한 성적으로 연세대학을 졸업하고 유학길에 올라 백악관 국가 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지냈다. 은퇴 후에도 전 세계 장애인들 가슴에 품고 장애인 인권과 복지를 위해 헌신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고 있다. 췌장암 말기라는 청청벽력 앞에서도 그는 결코 하나님을 향해, 생애에 대해 아쉬움이나 미련을 보이지 않는다. 한 평생 하나님과 함께 불꽃처럼 타오를 수 있었기 때문이다.이 책은 지난 한 평생을 되돌아보며 하나님이 베풀어 주신 은혜와 또 자신과 함께, 혹은 자신보다 앞서거나 더 낮은 자세로 장애인과 소외계층들을 위해 섬김을 다한 이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에는 헬랜 켈러나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크리스토퍼 리브와 같이 우리에게 익숙한 이들도 있고, 또 잘 알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예수님이 말씀하신 팔복의 원리를 배울 수 있다. 또 저자를 비롯해 여기에 등장하는 인간 천사들의 생애와 업적을 통해 하나님이 바라시는 신앙인의 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강영우 박사의 유고작이 된 이 책은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 취장암 말기, 얼마 안남은 생의 마지막 끝자락을 자신을 위해 허비하기 보단 보이지 않는 곳에서 오늘도 장애인의 인권과 제도 개선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다른 이들을 소개하며 겸손히 마무리하고 있기 때문이다.우리는 그의 삶을 통해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도 희망으로 가득 찬 그의 삶과 또 멋진 마무리, 나보다 남을 더 낫게 여기고,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배울 수 있다. 그 사랑에 휩싸여 바람처럼 불처럼 쓰임 받길 원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프롤로그]장애는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꾼다. 하지만 장애라는 것이 인생의 걸림돌, 그야말로 장애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 나에게 장애는 축복이었다.나는 단순히 장애를 극복한 것이 아니라, 장애를 통해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눈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의 아내를 만났고, 보이지 않는 눈으로 세상을 보는 법을 책으로 쓸 수 있었다. 장애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장애를 통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유엔과 백악관을 무대로 종횡무진 활동할 수 있었다.세계적으로 열 명 중 한 명은 장애인이고, 65세 이상 노인 두 명 중 한 명이 장애인이다. 사회의 고령화와 빠른 산업 발달로 사고, 재해로 인한 장애 인구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니, 이제 더 이상 장애는 남의 일이 아니다. 장애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으며, 그것은 저주가 아닌 축복이 될 수 있다. 나는 이러한 사실을 알리고 싶어, 늦은 밤 이렇게 끊임없이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다. 나의 삶이 여러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그리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생각이 그렇게 바뀌어 간다면 온전히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이 곧 오지 않겠는가? 오늘도 나는 그러한 바람을 간직한 채 책을 쓰며 나의 소중한 또 하루의 시간을 보낸다.
목록